본문 바로가기

정보 위키

4호 태풍 경로 업데이트 (7월 3일)

반응형

4호 태풍 에어리 예상 경로를 업데이트합니다. 기준은 7월 3일입니다.

 

4호 태풍 경로

우리나라 기상청 태풍 통보문에 따르면, 2일에 예상했던 경로에서 조금 더 남쪽에서 일본쪽으로 드리프트를 하는 코스로 바뀌었습니다. 제주에서도 거리가 충분히 멀어서 약간의 바람만 느껴질 정도가 되겠네요.

 

 

자세한 중심 기압 등에 대한 상세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기상청 태풍 통보문 바로가기

 

현재 중심기압은 994 헥토파스칼로 사이즈도 소형, 강도도 약한 태풍입니다. 그래도 일반 저기압보다는 바람의 세기가 크기 때문에 태풍이 되는 것이죠.

 

 

태풍 경로 상세 예측을 봐도 제주의 남동쪽 끝부분만 분홍색 서클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죠. 이는 태풍 경로 상에서 끝에 간접 영향만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에요.

 

태풍의 강도 변화나 반경에 대한 예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강풍반경이 300km도 안 되는 소형급 태풍입니다.

위와 같은 정보 역시 기상청에서 확인 가능한데요, 태풍 경로 뿐 아니라 이렇게 강도의 변화도 예측이 잘 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상세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기상청 태풍 상세정보 확인하기

 

다른 태풍 정보 살펴보기

우리나라 기상청 말고도 태풍에 민감한 다른 나라들의 태풍 예상 정보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태풍 4호 에어리처럼 태풍의 경로가 각 나라마다 비슷하게 예상하는 경우도 많지만, 예상 진로가 유동적인 태풍 발생 초기에는 나라마다 예상 진로가 확연히 다를 때가 많습니다.

 

북미합동태풍경보센터, 일본 기상청, 대만 기상청, 필리핀 기상청 등에서 예상하는 정보들을 확인해 보세요.

 

다른 태풍 정보 살펴보기

 

북미합동태풍경보센터(JTWC)의 태풍 경로 예상이 가장 정확할 때가 많은 편이기는 했습니다. 보통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기는 하죠.

 

2021년 특이한 움직임을 보였던 태풍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기상청이 가장 정확했던 적이 있어요. 태풍 경로 예측이 그렇게 어려운 것인가 봅니다.

 

다행히 4호 태풍 에어리가 한국으로 오는 예상 진로가 아니네요. 너무 이른 태풍이라 생각이 들기는 했습니다.

 

일본에서도 폭염 때문에 이번 태풍이 더위를 잠시 물러나게 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하네요. 소형 태풍이라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