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는 분들이 아주 많다. 사용자들 중에는 고수도 있을 것이고 하수도 있을 것이고, 초보도 있을 것이다. 새로 블로그를 세팅하는 방법도 많이 검색을 한다. 앞서간 선배들이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니까.
이때, 글쓰기 설정 관련해서 궁금한게 하나 생긴다. 글쓰기 설정 메뉴에 있는 '단락 앞뒤에 공백'이라는 것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게 맞느냐라는 것이다.
글쓰기 단락 앞뒤 공백 사용
우선 정답부터 말을 하겠다. 제대로 된 웹표준을 지키는 문서를 작성하고 싶다면, 단락 앞뒤에 공백을 '사용합니다'로 해 놓는 것이 맞다고 한다. 왜 그런지 이유를 들어보니 바로 수긍이 갔다.
우리가 단락 앞뒤 공백 사용을 하지 않고 글을 쓰면, 단락을 분명 나누었지만 윗단락과 너무 글이 붙어 나온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실제로 에디터에서도 너무 붙어 있고, 글을 발행한 이후에도 글이 붙어 있어 보인다.
그래서 단락 사이에 간격을 적당하게 주기 위해서 엔터를 한 번 더 친다. 그렇게 하면 적당히 단락이 떨어진 형태가 되기 때문에 문장을 읽기 훨씬 수월해진다. 즉, 가독성이 좋아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문제점이 하나 생긴다. 무슨 문제일까?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HTML 모드로 들어가면 그 사정을 알 수 있다.
엔터만 쳐서 단락간의 공백을 만들어 놓으면 아래 html 모드에서 본 그 공백 단락의 모습처럼 빈 문단 태그가 하나 만들어진다. 분명 문단이라는 태그는 있는데, 실제로 내용은 없는 그런 빈공간 문단 태그. 이게 웹표준에 좋을까?
컴퓨터는 코드로만 글을 이해한다. 우리가 지금 이 글을 실제로 읽는 것처럼 보는 것이 아니라 html 파일에 적힌 그것을 그대로 해석하는 것이다. 그것을 코드 단위로 쪼개서 이게 내용이고 아니고를 판단하는 것이지.
그때 저렇게 문단이 분명이 있다고는 했는데, 실제로는 내용이 없는 문단이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공백만 있는 문단은 가능하면 생성하지 않는게 좋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해야 할 것이 바로 '단락 앞뒤에 공백을 사용합니다'로 설정을 바꾸는 것이다.
티스토리의 기본 설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가 기본이다. 즉, 웹표준을 지키지 않는 방식이 기본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가능하면 이것을 바꾸도록 하자.
이전 글은 너무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먼저 들것이라 생각한다. 나도 처음에는 그랬다. 이걸 지금 바꾸면 이전에는 공백을 하나씩 만들면서 작성했던 글들은 문단 간격이 너무 벌어지지 않을까? 그런 생각.
그런데 막상 해 보니, 전혀 영향이 없었다. 그러니, 이 글을 본 사람은 지금부터라도 바꿔서 적용해서 글을 작성하기 바란다. 엔터를 한 번 덜치게 되는 것도 은근히 글을 쓸 때 훨씬 더 편리하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정보 위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접종 신청 바로가기 (0) | 2022.07.18 |
---|---|
MBTI 성격 유형검사 아직도 안해봄? (0) | 2022.07.09 |
보령 해저터널 가이드 (0) | 2022.07.04 |
4호 태풍 경로 업데이트 (7월 3일) (0) | 2022.07.03 |
서울숲 능소화 가는 길 알려줌 (0) | 2022.06.22 |